조회 수 516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좋은 글을 올려주신 나효임, 전홍표, 박영찬, 양원석님께 감사드립니다.
마음 비움에 대한 많은 글이 올라 있어 이에 대한 다석님의 말씀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선생님은 금강경 제10분〈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에 나오는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과
곡물의 수량을 되는 됫박을 비유로 들면서
마음자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다석일지 제4권 361쪽 ‘주일무적’에서 인용)

<길>이라는 것은 영원히 오고 영원히 가는 것이다.
그런데 그 길은 <나>가 가고 오고 한다.
내가 자꾸 그 길을 오가면 내가 곧 길이 된다.

이쯤 되면 내가 진리가 되고 생명이 된다.
예수가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고 했다는데,
<나>가 간다면 길 따로 나 따로가 있을 리 없다.

내가 없으면 길이 없다.
길이 없다고 내가 못 가는 것이 아니다.
나 있는 곳에 길이 있다.
나 따로, 길 따로가 아니다.

예수가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한 것은,
나와 길, 나와 진리, 나와 생명이 둘이 아니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나 없으면 진리고 생명이고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나>가 가고<나>가 오는 것이다. 그때 <참 나>가 된다.

우리는 사는 것을 사람으로 산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으로서 산다고 말하면 또 거짓말이 된다.

<나>는 정신으로 사는 것이기 때문이다.
종당에는 궁신지화(窮神知化)에 이른다.
한웋님이 나더러 그 따위 해석을 한다고 야단할지 모른다.
나중에 가보면 알 일이다. 내가 사는 것은 내 <멋>에 사는 것이다.

기차 안에서 자리다툼을 하다가 종착역에 다다르면, 그 자리를 내버리고 내린다.
자기가 의지했던 자리이지만 돌아보지도 않고 서슴없이 버린다.

예수도 <자리다툼>을 하지 말라고 타일렀다.
사람들이 다툴 때 다투더라고 어느 때 가서는 깨끗이 그만두었으면 좋겠다.
기차간에서 다툰 그 자리는 거저다.
우리의 싸움도 기차의 좌석 버리듯 그쯤 깨끗하게 버렸으면 한다.

우리가 무주(無住)라고 볼 때
주(住)를 <있다>, <머문다>는 정도의 단수한 의미로 생각하면 안 된다.
내가 세상을 산다는 것은 세상을 떠나서는 못 살기 때문에 <머문다>는 것이 결코 아니다.
우리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머무르게 된다는 것이 아니다.

날이 저물면 묵어가라고 한다.
또는 더 묵어가지 않고 왜 벌써 떠나는 거냐고 말리기도 한다.
묵어가는 것이 편할 것 같기도 하나 묵으면 머무르는 세계가 된다.

무주계(無住界)에서 어떻게 자꾸 묵겠는가?
무주계에서 더 묵어가라고 하는 심정, 또 묵어보았으면 하는 심정,
그것은 하루라도 더 이 상대세계에 얽매이기를 소원하는 생각이다.

묵는다는 것은 어떤 뜻으로는 불행을 가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세상에 묵는다는 것은 실상은 몸뚱이(껍데기)만 묵는 것이지,
<나>가 묵는 것이 아니다.

육십 평생 묵었는데 또 묵으란 말인가?
묵는다는 것은 몸을 묶는 것이지
정신이나 생각을 태우고 나가는 것이 아니다.

<나>라는 것에는 묵는다는 것이 하나도 없다.
새롭게 나가는 것이다.
생명은 자기 갈 곳을 가게 되어 있지 묵지를 못한다.

하루 밤을 묵었으면 <나>가 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나>의 자리는 묵은 것도 가는 것이고 가는 것도 묵은 것이다.

나는 묵는 것이 아니다.
묵는다면 물 속 밑바닥에 줄곧 가라앉아 있듯이 묵는 것인데,
<나>라는 것은 새로 나아가서 비로소 사는 것이다.

나가되 무한궤도(無限軌道)에 나간다.
무한궤도에 올라가지만 그 자체는 조금도 가지 않는 것처럼 간다.
그 무한궤도 자체에라도 묵으면, 그것 도한 중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세상에서 묵으면 아예 죽는 줄 알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세상에서는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해야 한다는 것이다.
머무를 것이 없는 것이 생명이다.

몸뚱이만 가지고 맘을 내면 견물생심(見物生心)이 된다.
몸뚱이의 충족은 죄악을 낳는다.
맛을 그리워하는 것은 못쓴다.

무엇을 좀 갖겠다든지, 좋은 소식 좀  듣겠다고 하는 것은
실제 마음이 거기에 머뭇거리는 증거이다.
이런 생각은 하나의 <우상>이니 삼가야 한다.

우리는 머무는 것 없이,
내 맘 머물지 말고 마음을 자꾸 나가게 해야 한다.
내 마음을 <내>가 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희로애락(喜怒哀樂) 따위 태울 것은 태워야 한다.
즉 희로애락을 화합(和合)시켜 나가는 가운데 길을 가야 한다.
그것은 본래 빈 데서 이루어진다.
그것이 중화(中和)의 길이다. 이것이 바르게 산다는 것이다.

되(升)는 될 것 다 되서 곧 비워 놔야지 다음 될 것을 될 수 있다.
될 것 자꾸 되어 넘기는 것이 화(和)이다.
중용(中庸)이라는 것도, 될 것 다 되고 바로 넘긴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세상에 있는 동안 우리의 존재를, 됫박으로 알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됫박은 늘 비워 두어야 한다. 그래야 다음에 금방 될 수 있다.
될 것을 되면 금방 넘겨야 한다.

이것이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의 자리이다.
우리의 마음은 머무는 데가 없어야 한다.
어디에 들어앉지 말아야 한다.

이 불교의 가르침은 깊은 뜻이 있다.
처음부터 마음을 내지(生心) 말아야 하는데,
사는 데는 생심(生心)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생심(生心)해도 금방 되를 넘겨야 한다.
곡식을 담아 두어서는 안 된다.
생심(生心)해도 머무르는 데가 없어야 한다(應無所住).

불교에서는 여섯 가지 금한 것이 있는데,
고운 것 먹지 말고,
고운소리 듣지 말고,
고운 냄새 맡지 말고,
고운 색 취하지 말고 등이다.

   
  • ?
    민항식 2006.04.23 13:47
    글을 올리고 다시 읽어보니
    “우리의 정신은 머무르지 않고 나가는 것이다”라는 말씀이 두렵습니다.
    나의 정신이 완성을 위해, 절대를 향해 나가는 길이
    진리요, 생명이라는 말씀 또한 감명 깊습니다.

    새순이 돋아나 자라듯 새록새록 솟나 나가는 정신이 참나라는 말씀.
    머무르면 아예 죽어버리는 정신에 대한 말씀.

    정신이, 마음이 희로애락에 머무르지 않고 나아갈 때
    우리의 마음은 저절로 청정(淸淨)해지고 비워지는 것이지
    억지로 마음을 비우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다석님의 마음 비움은 허무맹랑한 공허(空虛)함이나,
    그날그날 되는 대로 살아가는 무관심을 뜻하는 것이 아닌
    칼끝처럼 긴장된 정신의 정진을 뜻한다 하겠습니다.

    우리의 정신은 위로부터 이어이어 내려온 여기 맨끝입니다.
    돋아나고 자라서 앞으로 나가는 것은 언제나 맨끝인 여기입니다.
    맨끝이 무한궤도(無限軌道)로 나가는 길이 생명이 가는 길입니다.
  • ?
    전미선 2006.04.24 01:08
    감사 합니다.
  • ?
    민항식 2006.04.26 00:27
    전미선님 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섯 글자 속에 숨은
    ‘참맘’을 읽었습니다.

    미선님의 청정심(淸淨心)을 다시 한번
    화폭에 담아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이규자 개인전 안내 file 관리자 2013.03.10 22833
443 이 참에 모병제로 가자 장동만 2007.01.15 4905
442 이 여름 한가운데서.... 1 나효임 2008.07.25 13493
441 은혼식 민항식 2006.01.18 5330
440 윤회 2 나효임 2006.04.14 5859
439 유영모와 화이트헤드(클레어몬트 강연 내용 자체번역) 3 박영찬 2014.12.31 3348
438 유영모-함석헌 선생 제자들 힘합쳐 ‘씨알재단’ 창립 1 file 김병규 2007.10.10 9323
437 유영모 정신의 핵심 - 박영호 관리자 2010.09.01 13176
436 유영모 선생님의 시조에 대한 질문입니다.. 2 백기홍 2006.06.04 7528
435 유영모 선생과 함석헌 선생의 생명사상 재조명 김병규 2005.11.24 4923
434 유기종원장 안내말씀... 관리자 2014.09.13 3553
433 유기종 원장 감사와 인사.. 1 관리자 2015.05.25 893
432 유기종 교수 싸이트 관리자 2011.06.04 18766
431 원정 출산과 국적 포기 장동만 2005.05.27 5190
430 웃고 있을뿐.... 좋은책나눔 2006.01.07 5022
429 우리의 마음 안에선 예수와 석가가 만날 수 있지요 - 중앙일보 2009-5-26 file 관리자 2009.06.03 11083
428 우리말은 뜻이 나오는 론리적 구조가 있습니다 - "말이 씨가 된다" 프로그램 file 리감규 2007.08.19 9059
427 우리가 만나야 할 하나님 1 file 길잃은나그네 2011.04.02 20981
426 우뚝 선 씨알 장동만 2005.02.08 7131
425 우기기와 따지기 김진웅 2009.09.20 93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