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27 19:04

2007년을 보내며

조회 수 727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2007년을 보내며

올 한 해는 시골생활 6년 동안 가장 심(心)들었던 한 해였다.
시골생활을 포기할 생각까지 하였으니까 말이다. 서 있기조차 힘들 정도로 몸이 아무리 피곤하고 만 가지 생활이 불편하더라도 시골생활을 포기할 그런 생각까지는 하지 않았다. 올 과수농사가 엉망이 되어서 그랬던 것은 더 더욱 아니다. 이미 처절한 과수농사 실패는 2년 전에도 맛을 보았기에, 올 해도 나와 형님의 그 고됐던 노력에 대한 대가가 허무하게 무너지는 걸 보면서도 그저 담담할 수 있었다. 물론 속이 상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一日一生의 삶인 오늘을 행복하게 살자는 생각이 절망하지 않고 견딜 수 있게 하였다는 말이다. 우리 삶에 무슨 목표가 있는 게 아니라 살아가는 과정이 쌓여 인생이라는 탑이 완성되는 것처럼, 농사도 꼭 무슨 결과가 있어야 된다는 생각으로 짓지 않는다. 그러니까 보통 농사꾼들이 농사를 지을 때 100이 나오는데 내가 지은 농사가 겨우 20만 나왔다고 해서 그렇게 낙담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왜냐면 농사를 짓는 과정에 겪어야 했던 그 고통들이 있었기에 나와 아내와 형님, 세 식구는 서로가 서로를 아껴주고 위해주는 마음을 나눌 수 있었고, 노동 후 배고픈 식사는 또 그 무엇으로 바꿀 수 없는 즐거움을 주었고, 그리고 땀으로 범벅된 몸을 시원하게 씻을 수 있는 샘물은 내게 더 할 수 없는 행복을 주었는데 이 모두가 내 삶 속에 고스란히 쌓여 내 인생을 장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전혀 돈 없이 살아갈 수는 없겠지만 돈은 조금 벌더라도 그저 끼니를 이어갈 수만 있다면 너무 큰 결실에 연연하지 말자는 것이다.

올 한 해를 돌이켜 볼 때 기억에 남는 마음에 상처를 주고받은 일이 세 번 있었다. 연초, 나는 어떤 한 친구에게는 인터넷 상에서 글로 마음에 상처를 주었고-물론 전혀 의도는 없었지만, 또 다른 친구한테는 말로서 상처를 받았다. 그리고 또 다른 어떤 이한테는 서로 말로써 상처를 주고받았는데 이 부분이 제일 심(心)들었다. 내가 상처를 준 친구는 다행히 우여곡절 끝에 진즉에 우정을 되살렸지만, 내게 상처 준 친구와는 오랜 동안 화해를 하지 못했다. 이미 내 마음은 용서를 하였지만 그 친구를 해방시켜 주지는 못하여서 지난 12월 초 안양에 갔을 때 만나서 그 매듭을 풀려 했지만 그 친구 사정이 허락지 않아 매듭을 풀지 못했다. 다행히 며칠 전 그 친구가 술기운을 빌어 전화를 해 왔다. 그는 내게 상처 준 날짜가 2월 14일이라고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얼마나 심(心)들었으면 난 잊어버린, 생각지도 않고 있는 그 날짜까지 기억하고 있었을까 싶다. 그는 그날 내게 상처 준 그 말을 한 것이 부끄럽고 미안하다 했다. 나는 나로 인해 더 괴로워했을 그에게 미안하다고 했다. 그리고 끝냈다.

세 경우 중 나머지 하나, 서로 상처주고 받은 이 경우가 나를 참 심(心)들게 하고 많이 반성하게 하였다.  사람은 나이 들어가며 생각도 행동도 많이 변한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내 스스로는 어떤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내 기준으로 판단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소중하게 받아들이자고 하면서도 그렇지 못했던 나를 종종 발견하곤 했는데 올 7월 더욱 절실하게 느낀 것이다.  말을 잃고, 생각도 잃고 살아갈 꿈마저 잃어버렸던 일주일이 지난 7월 달에 있었다. 살 곳 찾아온 시골에서 죽음 맛을 톡톡히 보았던 것이다. 2005년 겨울에는 3개월 동안 몸이 죽어가는 맛을 보았는데 올 여름엔 맘이 죽어가는 맛을 본 것이다.

예전에 나는 이런 노래를 읊은 적이 있었다.

여기 오래되고 녹슨 수레 있어
삐걱거리며 겨우 겨우 굴러감.
제 구실 하게 새로 고쳐야.

허나 섣불리 손 댈 수 없음은
수레를 영 망가뜨릴 까봐
솟난 기술 가진 장색(匠色)을 그림.

그런데 맘이 죽어가며 이 생각도 시시해져버렸다. 누가 누구를 고친단 말인가!

다행이 기약 없을 것 같았던 마음의 고통은 일주 일만에 한 여름 밤의 악몽처럼 싹 지나갔다. 어떤 과정으로 싹 사라졌는지는 중요하지 않아 자세하게 얘기하지 않겠다. 부러진 뼈가 붙으면 더 굳세어지듯 주고받은 마음의 상처가 외려 약이 되어 서로를 더욱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음은 지금도 감사할 일이다.

그리고 그 후 류시화가 번역한 시 ‘75세 노인이 쓴 산상수훈’ 과 ‘어느 17세기 수녀의 기도’를 보며 다시 한 번 많은 걸 생각했다. ‘75세 노인이 쓴 산상수훈’에서는 우린 누구나 늙지만 그렇다고 늙은이를 모두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는 걸 일깨워주었고, 그리고 ‘어느 17세기 수녀의 기도’에서는 원융무애(圓融無碍 : 한데 통하여 어느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무엇에나 거리낌이 없음)의 삶을 살아라는 가르침을 다시 한 번 가슴에 새기게 하였다.

<75세 노인이 쓴 산상수훈>에서,
내 굼뜬 발걸음과 떨리는 손을 이해해 달라는 것,

다른 사람이 말하는 걸 알아듣기 위해  
오늘 내 귀가 얼마나 긴장해야 하는가를 이해해 달라는 것,

같은 말을 하였을 때
나더러 그 얘긴 오늘만도 두 번이나 하는 것이라고 핀잔주지 말아달라는 것.

그리고 <어느 17세기 수녀의 기도>에서,
늙어가며 아무 때나 무엇에나
한 마디 해야 한다고 나서는 치명적인 버릇에 걸리지 않게 해 달라는 것,

그리고 모든 사람의 삶을 바로잡고자 하는 열망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달라는 것,

내 기억이 다른 사람 기억과 부딪칠 때
혹시나 하는 마음이 조금이나마 들게 해 달라는 것,

더불어 살기 어려운 성인보다는 적당히 착하게 살게 해달라는 것.

송봉모 신부는 ‘상처와 용서’<길벗농원 카페 : ‘공감가는 글’에서 요약해 놓았음>라는 책에서 우리가 살아가며 실천하기 힘든 두 가지 일이 죄 짓지 않고 사는 것, 그리고 남에게 받은 상처를 용서하는 일이라고 했다.

어느 길벗 얘기처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삶이란 결국은 지지고 볶고 사는 것일 터이다. 나의 이 긴 푸념이 길벗들 삶과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한 해를 마무리 짓는 이즈음 내게 상처 준 모든 이들 씻은 마음으로 용서하여 새해엔 흘러간 물이었던 양 그저 담담히 서로 아름다운 얼굴로 대할 수 있었으면 한다.

무자년(戊子年) 새해에도
여러 길벗들 가정에 행복 반, 즐거움 반이 함께하길 진심으로 기도한다.  

2007년 12월 27일 길벗농원 김진웅 드림.





   
  • ?
    박영찬 2008.01.07 20:20
    선배님 올해도 웋나는 삶을 이루시길 ...........
  • ?
    김진웅 2008.01.11 07:36
    다석님 말처럼 하루살이 오!늘로 살겠습니다. 길벗님도 올 한 해, 즐겁고 행복한 하루로 사시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 5월 둘째주 화요강좌 말씀중에서.... 나효임 2006.05.10 5767
43 4700만년 전 영장류 화석 발견 관리자 2009.06.22 10241
42 2월 첫째주 화요일에 개강하나요? 1 임유나 2005.01.23 10090
41 21세기의 종교_다석사상강좌 file 관리자 2023.04.22 392
40 2017년 원단 박영호 선생님 서신 file 관리자 2017.12.19 867
39 2017년 여름수련회-고창 관리자 2017.08.02 802
38 2016,3-15,알파고를 추억하며 - 정수복 박영찬 2016.03.18 1025
37 2015년 수도교회 영성강좌 내용 관리자 2015.09.23 815
36 2012년 여름수련회_7/28~30 (2박3일) 공지합니다. 가을국화 2012.06.20 12423
35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목록 file 관리자 2011.12.21 12463
34 2009년 5월 씨알사상월례모임 관리자 2009.03.20 11702
33 2008년 3월 11일 화요모임 알림 운영자 2008.02.27 9374
32 2008년 2월 5일 화요모임 김병규 2008.01.23 9672
31 2008-4-12(토) 유영모 사상강좌 운영자 2008.03.20 10241
30 2008-3-23(일) 유영모와 기독교 강의 - 박영호 선생님 운영자 2008.03.15 10515
» 2007년을 보내며 2 김진웅 2007.12.27 7275
28 2-류영모의 깨달음-세계종교신문 1 file 관리자 2009.09.26 10959
27 18888파사일 김성언 2008.09.21 10199
26 1-류영모의 삶과 영성-세계종교신문 file 관리자 2009.09.26 10882
25 - 허허당의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중에서 2 홀가분 2012.11.21 54101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