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9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kr.blog.yahoo.com/dongman1936 <한국 정부는 작금 군 복무 기간 단축 및 사회복무/유급 지원병제를 골자로 하는 병역 제도 개선안을 마련, 빠르면 2007년 하반기, 늦어도 2008년 상반기 부터 단계적으로  이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다음 글은 필자가  2002년 9월 17일자 중앙일보(뉴욕 판) 에 “병역 지원제로 바꾸자” 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글이다.>                                        

                                   이 참에 모병제로 가자

“엉클 샘이  당신을  필요로 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당신이 엉클 샘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軍)는 3백여 가지 종류의 안정된 직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의식주를 제공하고, 초봉이 XXX달라,  고스란히 저축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대 후엔  각종 베니핏이 주어집니다.”                          ---미군 모병 광고문---

미국은 월남전이 끝난 직후인 1973년 1월  군 징병제 (draft  system)를 완전 폐지, 지원제 (volunteer system)로 바꾸었다.( 단: 전시에는 징병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다 )  미국이 오랜  연구 검토 끝에  이같은 획기적인 조치를 취할 당시, 군 당국은 이에  따르는 여러가지  부작용을  우려했다.  병력 수급 문제,  군 질(質) 저하 문제,  군의  흑인 일색화 등… 그러나  지원제가 실시된지  30년이 지난  지금,  그 같은 우려는 한낱  기우에 지나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있다.  지원자가  끊이지  않아  병력 수급에  조금의 차질도 없고, 군 학력 수준은  도리어  더  높아졌으며,  전체 인구에  비례한  흑백 분포에도 하등 이상이 없다고 한다.

지금 한국은  ‘병풍’이  크게 정치 쟁점화,  누구 아들(들)이 불법으로  병역 면제를 받았느니, 전 현직 국회의원  60여 명 이상이  병역 기피자니,  정치와  언론이 온통 이 ‘병풍’에  매달려  낮과 밤을 지샌다.  한국의 권력 가진 사람들, 돈 가진 사람들이  자식들의  병역 문제에  있어  그 동안  어떤 처신들을  해왔는가는  굳이  긴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다.  오죽해야   젊은이들의  입에서  ‘신의 아들’ (신의 조화로 군에 안가는 아들),  ‘장군의 아들’  ( 빽으로 보충역으로 빠지는 아들),  ‘어둠의 자식’ (돈도  빽도 없어 일선에 끌려 가는 자식 )‘들 이라는 저주와  자조의 말들이 나왔겠는가.

오늘날  선진국들은 앞다투어  징병제를 폐지, 모병제를  채택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포르투갈 등 유럽 대부분 국가가 이미  징병제를 폐지했고, 스페인은 금년 (2002년) 중 폐지 예정이고, 러시아는 작년 11월 푸틴 대통령이 폐지안에 서명을 했다.  (실시 일자는 미정)  그리고 독일은 이를 적극 검토 중이고, 일본 역시 자위대 병력은 100% 지원병으로 충당하고 있다 (http://www.anticonscript.org 참조)  모두가  국방 상황의 변화,  군의  현대화 및 과학화에  따르는  전문 기능 병력의 필요성 증대,  개인의 의사를 무시하는 강제 징집과  인간의  자유 기본권의 상치(相値)등을  감안한 조치다.

  한국의 경우  너무나도  말썽 많은 이 병역 문제,  그  비리 부정의  원천을 근원적으로 봉쇄 하기 위해서라도, 이제  시대의 흐름에  맞춰  병역 강제 징집 제도를 폐지,  지원병 제도로  바꾸어야  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국가 민족을 위하여…”  또는  “신성한 국토 방위를 위하여…” 라는 애국심에의 호소가  오늘날  젊은이들에게  조금의 소구력 (訴求力)도 갖지 못하는 이제,  군을 하나의 직업 군(群)화 함으로써 그들이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가  아닌,  즐거이 제 발로 걸어 들어 가는 군문 (軍門) 으로  탈바꿈 된다면, ‘선진 한국’을 향한 또 한발자국 거보(巨步)가 될 것이고, 남북 화해 무드  조성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중앙일보 (뉴욕판)  2002년9월17일자>             <장동만: e-랜서 칼럼니스트>  

http://kr.blog.yahoo.com/dongman1936
저서: “조국이여 하늘이여” & ‘아, 멋진 새 한국” (e-boo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5 후덕厚德 정성국 2007.07.08 6889
564 회의 ?????? 차태영 2007.02.24 5740
563 화요 강의 휴강 안내. 박영찬 2015.09.23 956
562 홈피오픈 축하 1 송용선 2004.04.29 17744
561 홈페이지 추가안(1) 송용선 2004.05.09 11778
560 홀로있기, 혼자 지켜봄인가...? 이풀잎 2005.06.15 6168
559 홀로 깨어있기 그것이든가.... 좋은책나눔 2005.07.14 5948
558 헛삶,헛수고 수복 2017.06.04 784
557 헐, 표고목 대박! 1 박우행 2013.02.26 12065
556 허순중 언님께 file 관리자 2014.03.23 5264
555 허공(1) 민항식 2006.01.17 5951
554 행복의 이름으로.. 하루 2011.01.01 16282
553 햇빛속으로... 나효임 2006.03.15 5864
552 한일철학포럼 유영모 함석헌..문화일보 7월 23일 관리자 2009.08.11 12314
551 한일철학자포럼 -유영모 함석헌관련 언론자료.. 관리자 2009.08.11 12282
550 한웋님은 민항식 2015.10.04 888
549 한웋님 우러르기에 살리라. - 박영호 file 관리자 2022.06.14 350
548 한웋님 file 박영찬 2016.04.22 814
547 한울님 file 박영찬 2016.01.19 1492
546 한아님 1 file 박영찬 2015.09.25 9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