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2.08 22:29

우뚝 선 씨알

조회 수 71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뚝 선 큰 씨울

   “넓고 깊은 진리의 바다, 참새 한 마리는 그 물 한 모금이면 족하니라.”            생 전 함석헌 선생님 말씀이다.
   선생님의 그 넓고 깊은 사상과 신앙, 청년기에 그 아주 작은 단편을 접할 행운이 있었다. 세브란스 회관에서, 서소문 장자 강좌에서, 그리고 천안 씨알 농장에서다.
   비록 한 모금, 한 조각이지만 그 것이 곧장 내 인생의 향방을 가른 선생님의 값진 “말씀’들, 그 중 몇 가지를 내 나름 소화한대로, 극히 어설픈 표현을 빌어 여기에 옮겨 본다.

   # “과일은 익으면 떨어져야”-
  
   우리는 흔히 말한다. 저 사람은 ‘착실한 사람’ ‘착실한 교인’ 이라고.
그런데 이 ‘착실 (着實)’이란 뜻이 무엇인가? 선생님은 풀이 하신다. 과일 (열매)이 아직 덜 익었을 때 나무 가지에 찰딱 붙어있는 상태라고.
그러나 과일은 무르익으면 나무 가지에서 떨어진다. 사람도 마찬가지, 어린 아기는 때가 되면 어머니 젖꼭지에서 떨어진다. 그리고 또 때가 되면 혼자서 걷고 혼자 선다 (自立). 즉 어떤 것에도 더 이상 의존 (dependent on)치 않고 독립 (independent) 한다.
선생님은 말씀을 이으신다. 신앙도 종교도 마찬가지, 신앙이 무르익으면 교회라는 건물에서, 기도 예배라는 형식에서, 떨어져 나와야 한다고.

# “눈은 보지 말라고, 귀는 듣지 말라고 있다.”-

사람에게 눈은 왜 있나? 물론 보라고 있다. 사람에게 귀는 왜 있나? 물론 들으라고 있다. 그런데 선생님은 말씀 하신다.
“눈은 보지 말아야 할 것은 보지 말라고, 귀는 듣지 말아야 할 것은 듣지 말라고 있는 것이니라.”
무슨 뜻인가? 인간은 한갓 짐승이 아니다. 먹고픈대로, 하고픈대로, 멋대로 구는 동물이 아니다. 인간은 도덕적 윤리적 존재다. 먹을 것과 먹지 말아야 할 것,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가려야 한다. 이 것이 사람이 사람다운 연유다.
선생님은 이렇게 모든 자연 현상에게 조차 윤리성 도덕성을 부여함으로써 향락주의 쾌락주의에 젖은 현대인들을 엄하게 꾸짖고 자제를 촉구 하셨던 것이다.

# “양심에 화살을 꽂으라!”-

선생님은 철저한 비폭력 무저항 평화주의, 어떤 부정 어떤 사악의 대상에게도 ‘눈에는 눈’의 대항은 폭력의 악순환만 초래한다는 신념을 갖고 계셨다.
어느 땐가 뉴욕 목회자 모임에서 반 군사 독재 투쟁 방법론을 에워싸고 중론이 오갈 때 선생님은 말씀하시는 것이었다.
“적의 양심에 화살을 꽂으라! 그 이상의, 그 이하의 방법도 있을 수 없다.”

# “하나님과 직교하라”-

흔히 세상 사람들은 선생님을 ‘무교회주의’라고 한다. 다분히 잘못 인식된 지칭인데 ‘무교회’의 참 뜻은 무엇인가?
선생님은 신앙의 대상 (하나님)을 ‘인격신’으로 파악 하신다. 또한 ‘나(自我)’를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아니라 어엿한 하나의 ‘인격체’로 보신다.
그렇다면 ‘나’라는 존귀한 하나의 ‘인격체’가 하나님이라는 ‘인격신’과 교류하는데 왜 중간 매체, 또는 중간 역할자가 필요하단 말인가?  ‘나’와 ‘하나님’ 과 직접 교류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신학적으로는 많은 논쟁이 되겠지만, 선생님의 이 ‘말씀’이 지금까지 나로 하여금 교회에 발길을 돌리지 못하게 하고 있다.

# “사람은 뚫려야~”-

선생님은 항상 말씀하셨다. “사람은 둟려야 한다”고.
사람의 몸은 식도로부터 항문까지 둟려 있다. 그 중간 어디가 막히면 몸에 이상이 생겨 신체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사람의 생각도 머리에서 발끝까지 확 뚫려 있어야 한다. 어디가 막혀 있어서는 안된다. 그런 사람을 우리는 ‘꼭 막힌 사람’이라고 하지 않는가.
선생님은 이렇게 속이 확 뚫린 사람을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퉁소에 비유, “퉁소 같은 사람”을 거듭 거듭 강조 하셨다.

# “위 나쁘면 위만 생각”-

한국 사람들은 유별나게 정치에 관심이 많다. 왜 그런가? 선생님의 대답은 “정치가 잘못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 신체를 볼 때 아무 이상이 없으면 우리는 위가 있는지, 심장이 어디에 있는지, 아무 의식 없이 지낸다. 그러다가 어디에 이상이 생기면 온 신경 온 관심이 온통 거기로 쏠린다. 위가 나쁜 사람은 뱃속에 위만 있는 것 같이 느낀다.
마찬가지로 정치가 제대로 잘 되어 간다면 사람들이 정치에 그렇게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 요 순 시대에는 백성들이 임금 이름조차 모르고 살지 않았던가.

# “제 정신이면 돌기는 왜 돌아”-

50녀 대 춤 바람이 한창 퍼질 때다. 어느날 연단에 서신 선생님, 불호령을 내리시는 것이 아닌가.
“모두 정신들이 돌았나? 정신이 돌지 않고서야, 제 정신들이라면 돌기는 왜 돌아?”
                                 <중앙일보 및 평화신문 (뉴욕판), 02/24/89일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5 이 여름 한가운데서.... 1 나효임 2008.07.25 13493
324 촛불 心志가 사르는 것들 (詩) file 장동만 2008.07.29 27473
323 여름 모임 점심 약속 장소입니다. 1 file 박우행 2008.07.31 11398
322 여름 모임 점심약속 장소입니다(약도) 1 file 박우행 2008.07.31 13561
321 몸나의 놀이 차태영 2008.08.30 10528
320 무월산장의 사흘 2 관리자 2008.09.03 11089
319 드높고 파아란 가을노래 이풀잎 2008.09.09 14383
318 다석사상연구모임에서 사용중인 교재.. 관리자 2008.09.12 10848
317 18888파사일 김성언 2008.09.21 10199
316 스승님의 파사일에 대한 글을 접하고 김성언 2008.09.21 10681
315 파사일-破私日 관리자 2008.09.21 11428
314 제2차 씨알사상포럼_한국철학과 씨알사상 관리자 2008.09.24 12553
313 거기서 거기 정유철 2008.09.30 10392
312 직불제와 파퓨리즘..? 1 김진웅 2008.10.17 11678
311 이름없는 들풀로 살아가기 김진웅 2008.10.24 8019
310 농사꾼이 본 실물경제 살리기. 3 김진웅 2008.10.28 12608
309 수능을 앞둔 조카 연희에게 김진웅 2008.11.10 8115
308 생명과 평화의 길을 말하다. 관리자 2008.11.17 9494
307 생명 평화의 길을 말하다-정양모신부 관리자 2008.12.06 10510
306 무심코 사용하는 말 중에서.. 김진웅 2008.12.29 9847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