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15 20:55

감사드립니다.

조회 수 47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귀농을 한 지 이제 13년째로 접어들었습니다.

농사를 하면서 어려운 점은

첫째,  농사를 잘 짓는 것입니다.

둘째,  다 먹을 수 없는 농작물을 판매하는 일입니다.

셋째, 매년 품질이 고르게 농작물을 생산하는는 일입니다.

 

 첫째, 농사를 잘 짓는다는 것은 어쩌면 불가능한 일인 지도 모르겠습니다.

30년 넘게 농사 일을 하고 계시는 백형의 말씀이 농사는 속고 속으며 짓는 거라 했습니다.

이 말의 뜻은 농사꾼이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 농사를 지었더니 대풍이 되었다해서

그 방법으로 다음 해에 그대로 농사를 짓더라도 그렇게 대풍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올해 들어 생각드는 것 중에 하나가 농사는 짓기는 하되 결과는 되어지는 것이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매년 배추벌레를 잡으며 농사를 지었는데도 매년 신통치 않았습니다.

그러나 올해는 배추 밭에 신경을 쓸 새가 없어 그대로 두었는데

배추에 벌레가 먹기는 해도 예상보다는 참 잘 되었습니다.

콩도 그랬어요.

매년 콩 밭에 풀을 매느라 힘겨웠는데 올해는 풀밭에 콩을 심고 관리기로 북을 두번 정도 치고

그리고 예초기로 풀을 두어 번 베어만 주었는데 콩이 참 잘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그간 지어 온 농사 중에 가장 게으른 농사를 지었는데도 결과가 좋았다는 것입니다.

 

둘째, 아무리 대풍이 되고, 참 먹을거리를 생산해도 이게 팔리지 않으면 농사꾼이 다 먹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난감한 일이 됩니다.

올해 단감이 그랬습니다.

제 단감은 부산한살림과  구두 협약이 되어 판매를 하고 있는데 올해는 판매를 겨우 1톤 정도 해 주었습니다.

우리집 과수원에 생산되는 단감이 9톤에서 10톤 정도는 되는데 이를 개인 판매한다는 것은 참 힘겨운 일입니다.

쉽게 판매하는 방법은 공판장에 내다 파는 것인데

제 단감의 경우는 한살림과 협약에 따라 농약을 4번 이상 칠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보니 감과 잎에 병균들이 자리를 잡아  감의 표피에는 흠집이 나고,

잎은 병이 들어 영양분을 충분히 빨아들이지 못하니 감이 크게 자라지 못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소위 먹을거리로는 별 상관이 없지만,

경매시장의 가격 경쟁에는 매우 불리하게 됩니다.

크기가 작고,  표피에 여러가지 티가 있으면 제 가격을 받을 수 없으니까요.

그러나 올해의 경우에는 단감에 재고가 쌓여  마음이 내키지는 않지만 일부는 공판장에 내다 팔아야 했습니다.

이 소식을 듣고 김병규 관리자님께서

여러 길벗들에게 도움을 청하여 무사히 소위 상품이라는 단감은 다 판매를 하였습니다.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했다는 말씀 올리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공산품이면 어느 때 생산이 되더라도 같은 크기, 같은 품질을 생산해 내지만

농산물은 그 해의 날씨와 사용하는 퇴비의 질, 비료의 양, 그리고 수확기에 따라 변동이 있으므로

균일한 농산물을 생산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러다보니, 어느 해는 단감이 크고 맛이 있다가,

또 어느 해는 단감이 싱겁고 맛이 없고 크기도 들쑥날쑥 하다는 것입니다.

 

해서, 농사꾼으로서 당부를 드리고 싶은 게 있습니다.

농사꾼이 제 아무리 게으르지 않게 농사에 올인을 하더라도

위와 같은 문제를 다 해결하고 농사를 지을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농산물에 한해서는

부디 도회지의 죽임의 문화의 상징인 상품으로 보지 말고

농촌의 살림의 문화인 먹을거리로 봐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길벗님들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소위 점심소견(點心所見) 올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 제1기 씨알사상 전문강좌 1 file 김병규 2007.12.18 11078
144 우리의 마음 안에선 예수와 석가가 만날 수 있지요 - 중앙일보 2009-5-26 file 관리자 2009.06.03 11083
143 무월산장의 사흘 2 관리자 2008.09.03 11089
142 일본 지질학자가 의도적으로 동강낸 한반도의 산맥지도 개탄 대한인 2009.12.10 11090
141 씨알강좌_2009.9.11_류영모의 영성신앙 출발 file 관리자 2009.09.11 11094
140 여름 수련회를 무사히 잘 마치었습니다. 관리자 2009.08.04 11104
139 박상덕님 개인전 관리자 2009.04.17 11157
138 갈릴리성서학당(김경재목사님) 김나미 2009.08.26 11183
137 "늘 세상에 있었지." 민원식 2009.10.31 11186
136 씨알재단에서 여름수련회를 시행합니다. 관리자 2009.08.14 11193
135 "지난 30년, 큰 아들에게 배반당한 역사"라는 글 민원식 2009.12.31 11226
134 그 속에 있음 이풀잎 2004.12.05 11251
133 기축년 새해 인사에 갈음하여.. 1 김진웅 2009.01.27 11279
132 묵은 핸 가고, 새핸 올까요? 민원식 2009.12.31 11318
131 씨알사상강좌 관리자 2009.01.06 11332
130 똥파리와 꿀벌 1 김진웅 2009.04.06 11341
129 다석탄신 119주년 기념 강연회 관리자 2009.02.19 11363
128 여름 모임 점심 약속 장소입니다. 1 file 박우행 2008.07.31 11398
127 파사일-破私日 관리자 2008.09.21 11428
126 장자....박영호저....헌책구입하고 싶습니다^^ 미모사 2009.07.22 11430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