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3 07:08

또 눈이 날리네요...

조회 수 830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난 겨울,

눈 보던 눈에 그때 눈이 남았나, 사라졌나?

사라질 헛소리와 사라진 눈 사진 보냅니다.

 

그러시겠지만,

 

‘눈’으로 보시기를,

‘눈’으로 보시길.......

 

 

                                                                                                                                                                                                       대관령 옛길

 

 

 

 

 

 

 

 

 

 

눈 내렸었지요.

그랬어요, 지난 겨울에도.

하늘 가득 채운 눈송이들,

지금 하얗게 사라졌습니다.

눈을 보았다는 건 한 자락 꿈이었네요.

 

 

 

 

 

 

 

 

 

 

 

 

봄눈 트는 지금-

눈 뜨는, 눈트는 것 말고는 모조리 꿈.

눈처럼 사라질

봄눈 트는 봄밤에 문득 잠 깨,

 

사라진 지난 겨울 눈을 생각합니다.

 

말갛게 사라진 내 어젠 현실이었을까요?

 

 

                                                                                                                                                                                강릉 부근               (사진기에 먼지가 많아서....) 

 

 

 

 

 

 

어제 갔던 장례식-

정말 그 사람은 없더군요, 이 사람처럼.

 

걸걸한 목소리에 호방한 웃음,

무딘 듯 번득이던 재치와 재능이 재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분위기만은 그 사람이 있었습니다.

모두들 그 사람 얘길 했지요.

 

그 얘기하는-

이 글 쓰는 내가,

그리고 읽는 그대조차

있기나 한 걸까요?

 

 

 

 

                                                                                                                                                                                       설악산 가는 길

 

 

 

 

네 시도 안 된 때에,

 

어둠 속에 눈뜨고 있다가,

 

가부좌로, 무릎 꿇고, 팔도 머리도 들어보고-

 

생각을 벼리고,

 

버려봤습니다.

 

<‘속의 속인 빈 맘’으로 찾다.>

 

 

 

 

 

 

 

 

 

 

 

 

 

 

 

 

 

 

 

 내게 주어진 유일한 가능성.

거의, 거의, 거의-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

그래도 오직 한 길 그 가능성.

 

그걸 오늘 새벽에-

 

눈처럼 녹아가는 새벽녘에 생각합니다.

 

 

 

 

 

 

 

 

 

 

수천 년 이 땅에 살던 사람들로 내가 있는데-

그 사람들은 수도꼭지에서 흐르는 물의 물거품보다 비현실 아닌가요?

 

비현실의 현실인 오늘을,

 

오늘을 또 어떻게 써야할까요?

 

 

 

 

 

                                                                                                                                                                                     권금성 부근에서

 

 

 

 

 

 

 

 

 

 

                                                                                                                                                                                권금성 부근

 

 

 

 

 

오늘 사라질 꿈의 계획은 이렇습니다.

 

고장 난 냉장고와 인터넷 선을 고치고,

닫히지 않는 서랍을 빼내 정리하고,

몇 년째 미루던- 창에 장막도 치고,

바닥에 세워두었던 거울도 올려붙이고...

 

점점 게을러지면서 미루던 걸 오늘은 하고 싶은데...

 

꼭 안해야 될 것 같아서요.......

 

 

 

 

 

 

 

 

 

 

 

 

 

 

 

 

 

 

                                                                                                                                                                                     신흥사 

 

 

 

 

무엇을 하는 것은 내 맘이 견딜 수 없이 싫어하는 것인데,

무얼 하지 않는 것은 내 몸이 얼마를 견디지 못하거든요.

마음 고요하려 해도 뇌에선 생각이-

생각들이 밀려들고 나옵니다.

 

 

 

 

                                                                                                                                                                                15년만의 대설이어서  굵은 가지들이 모조리 부러졌네요 

 

 

 

 

 

 

오늘은 1하는 42 42   1도 잠시 멈추고,

맘도 가끔 멈춰보겠습니다.

 

 

 

 

 

                                                                                                                                                                                     양수리 어디쯤

 
 
 
 ...‘겨울’에 하얗게 사라진 게 뭘까도 생각하면서...
 

 

 

 

 

 

 
 
 
 
 

 

                                                                                                                                                                                                                                                      종묘

 

 

 

 

 

 

 

 

 

 

 

 

 

 

 

 

 

 

 

 

  

 

 

 

 

 

 

  

 

 

 

바람 2010 2 19

닫힌 방안에 부는 바람, 바람

촛불 한 점 흔들림 없이-

흔들림 없이 앉은 내게도

흔들지 않고 지나갈 바람, 바람

그 광야에 불던 바람-

이 골방에 불 바람.

바람 아니어도,

흔들림 없이 타올라

흔적 없이 사라질 한 자루 초되길 바람

바람 기다리다가,

마지막 불꽃

‘팟’하고 사라지길 바람.

 

 

 

 

 

 

 

 

 

  

 

 

 

  

  

 

 

 
  

                                                                                                                                                                                                                            창경궁

 

 

 

 

오늘, 날이 따뜻해서 밖에 나가 보리밟았습니다.

흙을 다지는 것인데 한가한 일이지요.

 

지난해 가을, 커다란 화분 서른 개에 심은 보리를,

화분 위에 올라서서 조심스럽게 밟아 주었습니다.

 

겨울에 흙이 얼고 녹고를 반복하면서 흙 사이의 공간이 커지고

원래 표면보다 흙이 솟는 서리발이 생깁니다.

그러면 어린 보리처럼 뿌리가 얕은 식물은 뿌리가 공기 중에 드러나서 말라죽기에 밟습니다.

 

 

 

 

 

 

 

 

 

 

 

 

 

 

 

 

 

 

 

 

 

 

 

 

보리를 밟으면 보리 순이 꺾이고 부러집니다.

그래야 웃자라지 않고,

상처 난 잎으로 수분을 많이 잃기에, 이에 대응하느라 내한성, 생명력이 커지지요.

게다가 뿌리도 빨리 자라서 땅 속 깊게 파고들 수 있어 봄철 가뭄도 이깁니다.

 

시련 없이는 좋은 열매도 없습니다.

 

 

 

 

 

 

 

 

 

 

 

 

 

 

 

 

 

 

 

 

 

 

지난 밤, 비와 눈이 번갈아 내리더니 아침엔 눈이 소복하다.

눈 내린 아침 -

일하는 곳에 와서 향나무 가지에 앉은 눈을 털었다.

소복이 쌓인 예쁜 눈을 털어내는 게 아깝기도 하지만 - 나뭇가지가 부러지면 안 되니까.

 

 

장대 들고 가지에 쌓인 눈 터는 일. 역시 혼자 하는 한가하고 차분한 일이다.

눈 내린 정원에 혼자 나와 토닥토닥 눈 쌓인 나뭇가지를 두드리노라면,

 

내려앉은 눈처럼 마음도 차분히 가라앉는다.

 

 

.......

.......

난, 내 위에 무얼 쌓고 있나?

 

 

 

 

 

 

 

                                                                                      이날 원앙새를 서울 복판에서 백여 마리는 본 듯 하네요

 

 

 

 

     

비 맞은 잎에 눈비가 내려 얼고,

그 위에 진눈 내리다 얼어서, 가지와 잎이 얼음처럼 됐다.

바르게 위로 뻗은 가지는 상관없으나, 옆으로 난 가지는 탈일 수 있다.

 

향나무 가지 하나가 무게를 못 이기고 꺾였다.

위로 뻗은 가지는 견뎌도, 옆으로 난 가지에 눈 쌓이면 탈이 난다.

제법 굵은 가지- 오랜 세월 많은 일을 겪었겠지.

 

이번 겨울 이곳에선 이 가지 하나가 유일한 눈 피해다.

지난 가을, 위험해 보이는 나무는 튼튼한 줄로 단단히 매어놓아서 피해가 없었다.

찢긴 가지를 깔끔하게 베어내고는 다른 가지의 눈을 치웠다.

내 삶엔 어떤 탈이 날까,

 

‘생각’해보면 바로 알 수 있는 일이지.

 

 

.......

.......

 

내 머리 위에

 

어깨에도 얹힌 온갖 세상...

 

 

무얼 털어야 할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5 후덕厚德 정성국 2007.07.08 6889
564 회의 ?????? 차태영 2007.02.24 5740
563 화요 강의 휴강 안내. 박영찬 2015.09.23 956
562 홈피오픈 축하 1 송용선 2004.04.29 17744
561 홈페이지 추가안(1) 송용선 2004.05.09 11778
560 홀로있기, 혼자 지켜봄인가...? 이풀잎 2005.06.15 6168
559 홀로 깨어있기 그것이든가.... 좋은책나눔 2005.07.14 5948
558 헛삶,헛수고 수복 2017.06.04 784
557 헐, 표고목 대박! 1 박우행 2013.02.26 12065
556 허순중 언님께 file 관리자 2014.03.23 5264
555 허공(1) 민항식 2006.01.17 5951
554 행복의 이름으로.. 하루 2011.01.01 16282
553 햇빛속으로... 나효임 2006.03.15 5864
552 한일철학포럼 유영모 함석헌..문화일보 7월 23일 관리자 2009.08.11 12314
551 한일철학자포럼 -유영모 함석헌관련 언론자료.. 관리자 2009.08.11 12282
550 한웋님은 민항식 2015.10.04 888
549 한웋님 우러르기에 살리라. - 박영호 file 관리자 2022.06.14 350
548 한웋님 file 박영찬 2016.04.22 814
547 한울님 file 박영찬 2016.01.19 1492
546 한아님 1 file 박영찬 2015.09.25 9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