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20 11:34

권정생과 김수환

조회 수 93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권정생과 김수환


 권정생은 시골 교회 종지기로 살면서 아이들을 위해 동화를 쓰고,

쥐와 굼벵이와 여타 벌레와 새와 동물들과 그리고 가난한 이웃들과 함께 살다가 2007년 5월 17일 세상을 떠났다.

그가 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어 부자로 남 보란듯이 잘 살수도 있었다.

죽은 후 그가 남긴 통장에는 10억여원이라는 돈이 남아 있었지만,

그러나 그는 그가 손수 지은 5평 남짓한 흙집에서 평생 병고로 살다가 죽었다. 그러면서 이런 유언을 남겼다.


하느님께 기도해 주세요.

제발 이 세상, 너무도 아름다운 세상에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없게 해 달라고요.

제 예금통장 다 정리되면 나머지는 북측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보내 주세요.

제발 그만 싸우고, 그만 미워하고 따뜻하게 통일이 되어 함께 살도록 해 주십시오. 중동, 아프리카, 그리고 티벳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하지요.

기도 많이 해 주세요.

— 권정생의 유서, 《녹색평론》2007년 7-8월호


 시골에 내려오기 전에는 내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사람을 만나고 여러 책을 보았지만,

시골에 내려와 살면서는 단 한사람만이 만나보고 싶었는데 그 분이 권정생이었다.

그러나 그 때는 이미 그이는 온 몸이 종합병원과 같이 되어있었다. 

살아서 숨쉬는 것 자체가 고통이 될 만큼 힘 드는 상태에 있는 처지라

만나러 가지 않는 게 그 분을 도와주는 것이라는 부산한살림 대표였던 신종권님의 말을 듣고는 포기하였다.

그 분을 뵙고 싶었던 것은,

어쩌면 그토록 긴 세월을 병고와 고난의 삶을 살면서도

가난한 이웃과 온갖 벌레, 동식물들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지를 배우고 싶어서였다.

한 여름 뙤약볕에 지은 내 곡식을 벌레가 먹는다고, 멧돼지며 고라니가 내 곡식을 먹고, 밟고 피해를 준다고

죽이고 싶어하는 마음을 가진 농사꾼의 처지에서는 권정생은 이미 하늘에 사는 사람이었다.

더구나 그는 글로써 말로써 우리에게 사랑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 삶으로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세상은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으로 웰다잉(잘 죽는 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

김수환 추기경의 삶은, 같은 신앙인이었지만 권정생과는 다른 삶을 살았다.

그는 가난한 사람 곁에서는 살았지만, 가난한 사람과 더불어 가난하게 살지는 않았다.

이를 두고 김수환 추기경은 추기경직을 그만두고 나서며 스스로가 항상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고 했다.

어쩌면 이런 솔직한 모습은 아무나 보여줄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처지를 어떤 형태로든 변명을 하려는 게 인지상정일터,

그러나 김수환 추기경은 자신의 약점을 그대로 얘기하는 용기를 가졌다.

오늘이 김수환 추기경의 발인 날이다.

한 때 이 나라의 정신적 지도자의 한 사람으로서 약자의 편에서 큰 힘이 되어주셨던 고인의 명복을 빈다.


 한편, 권정생이 쓴 ‘우리들의 하느님’이란 산문집을 보며,

예수와 같은 성자의 삶이란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생각하게 하는 아침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5 전미선 12회 개인전 도록 이미지 (1) file 전미선 2015.03.22 889
464 다석씨알강의 서평-중앙일보 file 관리자 2015.03.22 744
463 다석 탄신 125주년 기념 강연회 내용 file 관리자 2015.03.14 754
462 다석묘소 참배(2015.3.7) file 관리자 2015.02.26 721
461 영원한 생명 민항식 2015.01.21 1182
460 눈 한번 감으니 민항식 2015.01.12 1342
459 엄마와 아기 민항식 2015.01.06 1587
458 유영모와 화이트헤드(클레어몬트 강연 내용 자체번역) 3 박영찬 2014.12.31 3348
457 감응(感應) 민항식 2014.12.31 1413
456 어느봄날의일 민항식 2014.12.22 1671
455 클레어 몬트 대학원에서의 다석사상소개..유기종 교수 관리자 2014.12.18 1918
454 다석 유영모의 사교회통(四敎會通) 사상과 화이트헤드의 넥서스 개념에 관련해서-유기종 교수 (미국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에서) file 관리자 2014.12.18 2331
453 동갑내기 민항식 2014.12.14 1606
452 어느 서민의 살림살이 2 민항식 2014.12.07 3102
451 조도(鳥道) 민항식 2014.11.30 2003
450 그림자 민항식 2014.11.22 2079
449 여타(餘他) 1 민항식 2014.11.16 2753
448 여생(餘生) 3 민항식 2014.11.16 2344
447 여생(餘生) 2 민항식 2014.11.16 2207
446 여생(餘生) 1 민항식 2014.11.16 22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