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20 11:34

권정생과 김수환

조회 수 93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권정생과 김수환


 권정생은 시골 교회 종지기로 살면서 아이들을 위해 동화를 쓰고,

쥐와 굼벵이와 여타 벌레와 새와 동물들과 그리고 가난한 이웃들과 함께 살다가 2007년 5월 17일 세상을 떠났다.

그가 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어 부자로 남 보란듯이 잘 살수도 있었다.

죽은 후 그가 남긴 통장에는 10억여원이라는 돈이 남아 있었지만,

그러나 그는 그가 손수 지은 5평 남짓한 흙집에서 평생 병고로 살다가 죽었다. 그러면서 이런 유언을 남겼다.


하느님께 기도해 주세요.

제발 이 세상, 너무도 아름다운 세상에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없게 해 달라고요.

제 예금통장 다 정리되면 나머지는 북측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보내 주세요.

제발 그만 싸우고, 그만 미워하고 따뜻하게 통일이 되어 함께 살도록 해 주십시오. 중동, 아프리카, 그리고 티벳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하지요.

기도 많이 해 주세요.

— 권정생의 유서, 《녹색평론》2007년 7-8월호


 시골에 내려오기 전에는 내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사람을 만나고 여러 책을 보았지만,

시골에 내려와 살면서는 단 한사람만이 만나보고 싶었는데 그 분이 권정생이었다.

그러나 그 때는 이미 그이는 온 몸이 종합병원과 같이 되어있었다. 

살아서 숨쉬는 것 자체가 고통이 될 만큼 힘 드는 상태에 있는 처지라

만나러 가지 않는 게 그 분을 도와주는 것이라는 부산한살림 대표였던 신종권님의 말을 듣고는 포기하였다.

그 분을 뵙고 싶었던 것은,

어쩌면 그토록 긴 세월을 병고와 고난의 삶을 살면서도

가난한 이웃과 온갖 벌레, 동식물들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지를 배우고 싶어서였다.

한 여름 뙤약볕에 지은 내 곡식을 벌레가 먹는다고, 멧돼지며 고라니가 내 곡식을 먹고, 밟고 피해를 준다고

죽이고 싶어하는 마음을 가진 농사꾼의 처지에서는 권정생은 이미 하늘에 사는 사람이었다.

더구나 그는 글로써 말로써 우리에게 사랑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 삶으로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세상은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으로 웰다잉(잘 죽는 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

김수환 추기경의 삶은, 같은 신앙인이었지만 권정생과는 다른 삶을 살았다.

그는 가난한 사람 곁에서는 살았지만, 가난한 사람과 더불어 가난하게 살지는 않았다.

이를 두고 김수환 추기경은 추기경직을 그만두고 나서며 스스로가 항상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고 했다.

어쩌면 이런 솔직한 모습은 아무나 보여줄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처지를 어떤 형태로든 변명을 하려는 게 인지상정일터,

그러나 김수환 추기경은 자신의 약점을 그대로 얘기하는 용기를 가졌다.

오늘이 김수환 추기경의 발인 날이다.

한 때 이 나라의 정신적 지도자의 한 사람으로서 약자의 편에서 큰 힘이 되어주셨던 고인의 명복을 빈다.


 한편, 권정생이 쓴 ‘우리들의 하느님’이란 산문집을 보며,

예수와 같은 성자의 삶이란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생각하게 하는 아침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 긴급하게 알립니다. 1 하루 2011.02.02 19768
364 新年詩 < 환호작약의 순간 > -도우님들과 힘찬 새해 시작하고픈 마음 담아봅니다. 별 꽃 허공 2011.02.02 27472
363 오늘의 詩(9) < 님의 얼굴 > 별 꽃 허공 2011.01.29 21051
362 오늘의 詩(8) < 하늘 위의 눈 > 별 꽃 허공 2011.01.04 20285
361 행복의 이름으로.. 하루 2011.01.01 16282
360 오늘의 詩(7) < 바람처럼 구름처럼 > 별 꽃 허공 2010.12.26 18643
359 오늘의 詩(6) < 自由郞 자유랑 > 별 꽃 허공 2010.12.21 18694
358 신년 2011 년 1월 1일 - 박영호 선생님 댁 방문 관리자 2010.12.19 20537
357 오늘의 詩(5) < 뜬구름의 길 > 별 꽃 허공 2010.12.09 18698
356 오늘의 詩(4) < 鄕愁 > 1 별 꽃 허공 2010.12.04 17459
355 하루때문 박영찬 2010.12.02 16010
354 오늘의 詩(3) < 明明白白 > 별 꽃 허공 2010.11.30 16481
353 오늘의 詩(2) < 그 향기 알려거든 > 별 꽃 허공 2010.11.25 15859
352 오늘의 詩(1) < 허공의 얼굴 > 3 별 꽃 허공 2010.11.22 16575
351 인사말씀 드립니다 2 별 꽃 허공 2010.11.22 13294
350 다석 마지막강의 - 2010년 문공부 선정 우수도서 관리자 2010.11.20 15328
349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동아일보 소개 file 관리자 2010.11.14 36731
348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한겨레신문 서평 file 관리자 2010.11.12 15649
347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한국일보 서평 file 관리자 2010.11.12 12648
346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문화일보 서평 file 관리자 2010.11.12 13532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