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20 11:34

권정생과 김수환

조회 수 93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권정생과 김수환


 권정생은 시골 교회 종지기로 살면서 아이들을 위해 동화를 쓰고,

쥐와 굼벵이와 여타 벌레와 새와 동물들과 그리고 가난한 이웃들과 함께 살다가 2007년 5월 17일 세상을 떠났다.

그가 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어 부자로 남 보란듯이 잘 살수도 있었다.

죽은 후 그가 남긴 통장에는 10억여원이라는 돈이 남아 있었지만,

그러나 그는 그가 손수 지은 5평 남짓한 흙집에서 평생 병고로 살다가 죽었다. 그러면서 이런 유언을 남겼다.


하느님께 기도해 주세요.

제발 이 세상, 너무도 아름다운 세상에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없게 해 달라고요.

제 예금통장 다 정리되면 나머지는 북측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보내 주세요.

제발 그만 싸우고, 그만 미워하고 따뜻하게 통일이 되어 함께 살도록 해 주십시오. 중동, 아프리카, 그리고 티벳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하지요.

기도 많이 해 주세요.

— 권정생의 유서, 《녹색평론》2007년 7-8월호


 시골에 내려오기 전에는 내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사람을 만나고 여러 책을 보았지만,

시골에 내려와 살면서는 단 한사람만이 만나보고 싶었는데 그 분이 권정생이었다.

그러나 그 때는 이미 그이는 온 몸이 종합병원과 같이 되어있었다. 

살아서 숨쉬는 것 자체가 고통이 될 만큼 힘 드는 상태에 있는 처지라

만나러 가지 않는 게 그 분을 도와주는 것이라는 부산한살림 대표였던 신종권님의 말을 듣고는 포기하였다.

그 분을 뵙고 싶었던 것은,

어쩌면 그토록 긴 세월을 병고와 고난의 삶을 살면서도

가난한 이웃과 온갖 벌레, 동식물들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지를 배우고 싶어서였다.

한 여름 뙤약볕에 지은 내 곡식을 벌레가 먹는다고, 멧돼지며 고라니가 내 곡식을 먹고, 밟고 피해를 준다고

죽이고 싶어하는 마음을 가진 농사꾼의 처지에서는 권정생은 이미 하늘에 사는 사람이었다.

더구나 그는 글로써 말로써 우리에게 사랑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 삶으로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세상은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으로 웰다잉(잘 죽는 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

김수환 추기경의 삶은, 같은 신앙인이었지만 권정생과는 다른 삶을 살았다.

그는 가난한 사람 곁에서는 살았지만, 가난한 사람과 더불어 가난하게 살지는 않았다.

이를 두고 김수환 추기경은 추기경직을 그만두고 나서며 스스로가 항상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고 했다.

어쩌면 이런 솔직한 모습은 아무나 보여줄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처지를 어떤 형태로든 변명을 하려는 게 인지상정일터,

그러나 김수환 추기경은 자신의 약점을 그대로 얘기하는 용기를 가졌다.

오늘이 김수환 추기경의 발인 날이다.

한 때 이 나라의 정신적 지도자의 한 사람으로서 약자의 편에서 큰 힘이 되어주셨던 고인의 명복을 빈다.


 한편, 권정생이 쓴 ‘우리들의 하느님’이란 산문집을 보며,

예수와 같은 성자의 삶이란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생각하게 하는 아침이다.

   

  1. 연하장을 대신해서 ..

    Date2008.12.30 By김진웅 Views10019
    Read More
  2. 지난천평 地亂 天平

    Date2009.01.01 By정성국 Views10930
    Read More
  3. 새해에 드리는 귀한 말씀

    Date2009.01.02 By관리자 Views10328
    Read More
  4. 씨알사상강좌

    Date2009.01.06 By관리자 Views11332
    Read More
  5. 줄곧 뚫림(중용) 1월(章)

    Date2009.01.21 By박영찬 Views10597
    Read More
  6. 기축년 새해 인사에 갈음하여..

    Date2009.01.27 By김진웅 Views11279
    Read More
  7. 나는 하느님 품안에 있으면서도 하느님이 그립다.

    Date2009.02.03 By관리자 Views11027
    Read More
  8. [문화일보]다석 류영모’ 출간-.2009.2.16

    Date2009.02.17 By관리자 Views10981
    Read More
  9. 다석탄신 119주년 기념 강연회

    Date2009.02.19 By관리자 Views11363
    Read More
  10. 권정생과 김수환

    Date2009.02.20 By김진웅 Views9366
    Read More
  11. 삭개오 작은 교회 ‘갈릴리복음 성서학당’ 개강 --(펌)

    Date2009.02.20 By김병규 Views11782
    Read More
  12. 아들 딸에게 전해야 될 얘기

    Date2009.02.24 By이풀잎 Views9558
    Read More
  13. 몸에 갇혀 말해봅니다.

    Date2009.02.25 By정유철 Views10731
    Read More
  14. 씨알학회 창립 학술대화 마당

    Date2009.03.11 By관리자 Views10870
    Read More
  15. 네팔의 추억...(다시 올립니다.)

    Date2009.03.12 By민원식 Views10517
    Read More
  16. 경계(境界)

    Date2009.03.13 By김진웅 Views9754
    Read More
  17. 다석 유영모 신학세계 속에 한국기독교의 길 있습니다-한국일보 2009.3.12

    Date2009.03.13 By관리자 Views11009
    Read More
  18. 다석탄신 119주년 추모모임을 다녀와서

    Date2009.03.15 By관리자 Views13212
    Read More
  19. 2009년 5월 씨알사상월례모임

    Date2009.03.20 By관리자 Views11702
    Read More
  20. 모든 의견에는 비판이 있기 마련이고, 의견 개진은 발전 과정...

    Date2009.04.01 By민원식 Views107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