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02 08:59

問崇德辨惑

조회 수 95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子張(자장): 자장이

問崇德辨惑(문숭덕변혹)한 대: 덕을 높이고 의혹을 분별할 것을 물으니

子曰主忠信(자왈주충신)하며: 공자 말씀하시기를, “충과 신을 주로 하여

徙義(사의): 의에 옮기는 것이

崇德也(숭덕야)니라: 덕을 높이는 것이다.”고 하셨다.

愛之(애지): 사랑하면

欲其生(욕기생)하고: 살고자 하고

惡之(오): 싫으면

欲其死(욕기사)하나니: 죽고자 하니

旣欲其生(기욕기생)이요: 이미 살고자 하고

又欲其死(우욕기사): 또 죽고자 하면

是惑也(시혹야): 이것이 미혹한 것이니

誠不以富(성불이부): 진실로 부유함으로 하지 못하니

亦祇以異(역기이이)니라: 또한 다만 달리함으로써 한다

[논어 안연]

 

齊景公(제경공): 제나라의 경공이

有馬千駟(유마천사)하되 : 말 천 사가 있었으나

死之日(사지일): 죽는 날에

民無德而稱焉(민무덕이칭언)이요 : 백성이 덕을 일컬음이 없었고

伯夷叔齊(백이숙제): 백이와 숙제는

餓于首陽之下(아우수양지하)하되 : 수양산 아래에서 굶주려 죽었으나

民到于今稱之(민도우금칭지)하나니라 : 백성이 이제까지 일컫는다.

[논어 계씨]

(1957.9.04)


注) 해석은 일지의 내용이 아니고 게시자가 붙인 내용입니다.

     

 

   
?
  • ?
    박우행 2016.02.02 20:50
    惡之에서 악을 미워할 오로 읽어야 합니다. 駟는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말 사천 마리로 해석해야 합니다.

  1. 맞햔가지 한가지

    Date2015.10.21 By박영찬 Views468
    Read More
  2. 閑居愼勿 說無妨

    Date2015.10.29 By박영찬 Views635
    Read More
  3. 恭而 無禮則勞

    Date2015.11.05 By박영찬 Views1047
    Read More
  4. 하고 되게

    Date2015.11.11 By박영찬 Views710
    Read More
  5. 맨듬 과 지음

    Date2015.11.27 By박영찬 Views756
    Read More
  6. 元亯利貞 天道之常

    Date2015.12.07 By박영찬 Views742
    Read More
  7. 하늘 계신 아바 계 이...

    Date2015.12.16 By박영찬 Views772
    Read More
  8. 늘 삶은 곧 오직 하나...

    Date2015.12.23 By박영찬 Views725
    Read More
  9. 욥 34장14. 그가 만일 ...

    Date2016.01.11 By박영찬 Views715
    Read More
  10. 人子(인자)大我無我一...

    Date2016.01.20 By박영찬 Views747
    Read More
  11. 問崇德辨惑

    Date2016.02.02 By박영찬 Views957
    Read More
  12. 言行(언행)

    Date2016.02.23 By박영찬 Views980
    Read More
  13. 생사

    Date2016.03.08 By박영찬 Views706
    Read More
  14. 대보잠 - 장온고

    Date2016.03.18 By박영찬 Views1131
    Read More
  15. 아가폐

    Date2016.03.24 By박영찬 Views710
    Read More
  16. 春夜宴 桃李園序 - 李白

    Date2016.04.05 By박영찬 Views1178
    Read More
  17. 곡신불사

    Date2016.04.15 By박영찬 Views799
    Read More
  18. 정신절사

    Date2016.05.12 By박영찬 Views727
    Read More
  19. 십자가상칠언서

    Date2016.05.16 By박영찬 Views729
    Read More
  20. 사자기분(四自己分)

    Date2016.06.17 By박영찬 Views7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