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29 08:29

여공배향 2

조회 수 48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與空配 二 (여공배향 2)


高遠亦无如太虛(고원역무여태허) 利見自性卽燕處(이견자성즉연처)
親密莫先於天空(친밀막선어천공) 侍中未曾離本宮(시중미증이본궁)
(다석일지-1957.2.19)

   
?
  • ?
    우행 2015.07.30 08:32
    亨은 享으로 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다석은 다석일지에 享의 주문(주문은 周나라 宣王 때의 太史인 주가 창작한 것으로 小篆(소전)의 전신인 大篆이라고 함)을 썼습니다. 또한 亨(형)이라 쓰여 있더라도 享(향)이라 읽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享은 잔치에 참여해서 같이 노는 것 입니다.
    轉句(전구)의 昻은 卽입니다.
  • ?
    박영찬 2015.07.30 09:11

    일지의 한자는 네이버의 한자 사전에 亨의 고어로 풀이가 되어있고 드린다는 뜻과 형통하다는 뜻이 같이 있습니다. 제사의 뜻이면 드린다는 향의 발음이 맞다고 생각되고 형으로 읽으면 거칠 것이 없다는 것인데 다석일지공부에는 향으로 한자가 되어 있네요... 언어 놀이의 관점에서는 亨이 맞다는 생각도 드는데...한글은 향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어째든 한자를 복사해서 고어를 붙여 놓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놀다는 우리말도 단지 누린다는 것도 있지만  마음대로 한다는 뜻도 있다고 봅니다. 박영호 선생님도 양쪽을 다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萬古一氣(만고일기) 박영찬 2014.06.11 1488
241 心事有欲無主民乃亂天... 박영찬 2014.06.09 1487
240 박영찬 박영찬 2014.01.29 1482
239 人相圖 박영찬 2014.10.15 1456
238 박영찬 박영찬 2014.05.08 1432
237 ㄴ.ㄱ ㅅ지 기 잇다... 박영찬 2009.02.11 1431
236 하나 그저너너너와 않... 박영찬 2014.11.04 1429
235 짧은 넋두리 강종은 2007.11.08 1401
234 박영찬 박영찬 2013.11.06 1396
233 박영찬 1 박영찬 2013.04.04 1376
232 홀가분 홀가분 2011.11.06 1356
231 박영찬 박영찬 2013.11.13 1354
230 그 긋 긎ㅕ 근 귿 - 른... 박영찬 2014.12.16 1333
229 박영찬 박영찬 2013.11.19 1311
228 倫理原點(윤리원점)機... 박영찬 2014.11.11 1302
227 박영찬 박영찬 2014.03.28 1292
226 박영찬 박영찬 2013.11.01 1291
225 乾知大始 박영찬 2014.11.24 1283
224 천수경(참 제업장) 정성국 2007.06.10 1282
223 박영찬 박영찬 2013.10.08 127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