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malsi.swf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딸"이라는 말을 풀이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ㄸ[헤아림(도리. 자료) 엮인 면 - 이질적인] + ㅏ[내는] + ㄹ[움직임. 리치. 살]

이질적인 도리가 엮이는 면을 내며 움직이는 것을 견주는 말입니다. 시집을 가서 따로 살아가는 삶을 견주는 말입니다.


사랑
ㅅ[닛는. 사는. 속] + ㅏ[내는]
ㄹ[움직임. 리치. 살] + ㅏ[내는] + ㅇ[있는]

니어지는 속을 내는 것이 살로 있음을 내는 것.
니어진 속을 내는 것이 움직임을 살로 내고 있는 것입니다. 살은 바큇살처럼 중심의 생각으로 움직입니다. 사랑은 속이 니어져 하나같은 생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입니다.

사랑
ㅅ[닛는. 사는. 속 - 없는. 아닌] + ㅏ[내는]
ㄹ[움직임. 리치. 살] + ㅏ[내는] + ㅇ[있는]

니어지는 속이 없는 것처럼 내는 것이 살(움직임)로 있음을 내는 것입니다. 본채와 떨어져 있는 건물이지만 같은 집에 있어 손님이 사용하는 방입니다. 손님은 닛고 사는 관계가 큰 범위에서는 같지만 엄밀한 부분에서는 서로 달리 살면서 필요할 때 만나는 관계입니다. 사랑은 이처럼 속이 느슨하게 니어지는 관계를 견주어 살(움직임)을 내고 있는 것을 겨줍니다.


사돈
ㅅ[닛고 사는 속 - 아닌. 없는] + ㅏ[내는]
ㄷ[동일 도리] + ㅗ[올리는] + ㄴ[안. 눈]

닛는 속이 없음을 내지만 동일 도리를 안으로 올리는 관계.
서로 닛고 사는 속이 있는 관계가 전혀 없었지만 동일한 도리를 안으로 내는 관계를 맺는 사람을 견주는 말입니다. 왼쪽으로 니어지는 속을 내는 것으로 동일 도리를 안으로 내서 삼는 관계를 뜻합니다.


사위
ㅅ[닛고 사는 속 - 이질성] + ㅏ[내는]
ㅇ[있는] + ㅜ[간직한] + ㅣ[니루어 세운]

니어진 속이 아닌 이질적인 것을 내고 있음을 간직하고 니루어 세운 것.
서로 니어진 속이 없는 관계로 있음을 간직하고 니루어 세운 것을 견주는 것입니다. 시댁이나 시집이란 말에서 ㅅ이 서로 니어진 관계 아닌 이질적인 속을 견주는 것처럼, 사위도 왼쪽으로 니어진 속을 견주는 것입니다.


시댁
ㅅ[닛고 사는 속 - 이질성] + ㅏ[내는]
ㄷ[도리. 헤아림. 자료] + ㅏ[낳고, 내는] + ㅣ[니루어 세운] + ㄱ[값. 겉]
이질적인 속을 니루어 세운 것으로 도리를 내 세우는 값을 견줍니다.


딸이나 시댁이나 사위 사돈이 모두 이질적이 관계로 본래 성향을 견주는 말입니다. 사랑이 동일성을 가질 때는 새로운 생명을 만들고, 이질성을 지닌 것으로 견주면 사랑방을 만듭니다.
우리말에 쓰이는 초셩(초성)은 왼쪽과 오른쪽 성향을 갖고서 정음이 뜻하는 바를 견주는 구조입니다. 우리말에서 같은 말이 정반대 의미가 나오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죽이네 라는 말을 쓰면 사람을 못살게 하는 의미와 너무 좋다는 의미가 나오는 구조를 말하는 것입니다.



   

  1. No Image 07Oct
    by 김진웅
    2007/10/07 by 김진웅
    Views 8299 

  2. 또 눈이 날리네요...

  3. 사랑은 언제나..

  4. “책망하는 침묵과 찬성하는 침묵이 항상 존재한다.”

  5. 다석 선생님 감사합니다.

  6. 다행

  7. No Image 24Oct
    by 정성국
    2007/10/24 by 정성국
    Views 8550 

    多 夕

  8. 자비송

  9. 撫月 무월- 달을 어루만짐.

  10. 생각과 말슴

  11. 『 잃어버린 예수』- 책 출간을 의뢰 합니다.

  12. 다석사상 화요모임이 9월4일(화) 부터 여의도에서 시작 됩니다.....

  13. No Image 11Jan
    by 김진웅
    2008/01/11 by 김진웅
    Views 9051 

    조카와 꿀단지

  14. No Image 19Aug
    by 리감규
    2007/08/19 by 리감규
    Views 9059 

    우리말은 뜻이 나오는 론리적 구조가 있습니다 - "말이 씨가 된다" 프로그램

  15. No Image 12Jun
    by 장동만
    2009/06/12 by 장동만
    Views 9316 

    바보가 천당서 띄우는 편지

  16. 유영모-함석헌 선생 제자들 힘합쳐 ‘씨알재단’ 창립

  17. No Image 20Sep
    by 김진웅
    2009/09/20 by 김진웅
    Views 9340 

    우기기와 따지기

  18. No Image 20Feb
    by 김진웅
    2009/02/20 by 김진웅
    Views 9366 

    권정생과 김수환

  19. No Image 27Feb
    by 운영자
    2008/02/27 by 운영자
    Views 9374 

    2008년 3월 11일 화요모임 알림

  20. No Image 17Nov
    by 관리자
    2008/11/17 by 관리자
    Views 9494 

    생명과 평화의 길을 말하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