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23 07:33

[" 예서 계갈 빈 맘 "]

조회 수 731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肉)는 나너 있고 마침이 있다.
계(靈)는 나너 없고 마침없다.
님의 하심은 나너없이 비롯이요. 마침없이 끝이다.
빈 맘이란 나도 너도 없음이요. 마침이 없음이다.
나너없이 마침없는 생명으로 삶이 빈맘이다.

이 가을 하늘은 맑고 깨끗하다
산에 오르고 내림은 힘이 들지만
꼭대기에 오름은 시원하고 상쾌함이다.
상쾌하고 시원한 맨꼭대기에 꼭꼭대기이다

   
  • ?
    정성국 2006.11.23 18:17
    ["예 말고 계 뵐 빈맘']
  • ?
    김진웅 2006.11.23 20:08
    빈 맘이 하느님일진데 우리는 우째그리 꽉찬 마음으로 살아갈꼬?
  • ?
    최봉학 2006.12.01 12:02
    ㅇㅇㅇ

    예[肉]와 계[靈]라는 표현이 참 독특합니다........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표현상의 차이인지요..??

    ㅇㅇㅇ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5 마음 비움에 대한 다석님 생각 3 민항식 2006.04.23 5160
324 마지막강의 관련 신문기사 관리자 2010.03.20 15345
323 말숨 123호 file 관리자 2015.10.27 768
322 맘을 곱게 먹고 3 민항식 2015.06.02 895
321 맨끝 민항식 2006.01.10 5126
320 명예 졸업장-주간기독교 file 관리자 2011.04.04 20861
319 모든 의견에는 비판이 있기 마련이고, 의견 개진은 발전 과정... 민원식 2009.04.01 10761
318 목련 민항식 2015.04.02 755
317 몸나의 놀이 차태영 2008.08.30 10528
316 몸에 갇혀 말해봅니다. 정유철 2009.02.25 10731
315 못난이 자화상 4 민항식 2015.07.02 989
314 무달(無怛)의 노래 - 애산 김진호 목사님과 다석님의 교우를 읽고 - 1 민항식 2015.09.01 1010
313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옹달샘 2010.02.06 10203
312 무심코 사용하는 말 중에서.. 김진웅 2008.12.29 9847
311 무아(無我)의 변(辯) 1 민항식 2015.06.14 845
310 무월산장의 사흘 2 관리자 2008.09.03 11089
309 묵은 핸 가고, 새핸 올까요? 민원식 2009.12.31 11318
308 문답(1) 민항식 2006.01.07 5090
307 문답(2) 민항식 2006.02.04 5482
306 문답(3) 민항식 2006.02.19 5209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