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77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교회 헌금과 사법 처리

    교회에 내는 헌금 (행위)이 사법 처리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인가?
“그럴 수도 있다”는 것이 한국 선관위의 유권 해석이자 단호한 입장이다.

    사연인 즉 이렇다. 전남 어느 군수 출마 예정자가 작년 10월 말 한 교회에 찬조금 50만 원을, 비슷한 시기에 다른 교회에 기도 헌금으로 50만 원을, 그리고 지난 3월 초 또 다른 교회에 수 십만 원을, 각각 ‘헌금’ 했다. 그런데 선관위는 이 것을 선거법 위반으로 간주,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한다.

    또 다른 얘기가 있다. 역시 전남 모 군수, 그의 부인이 자기가 다니는 교회에 지난 1월 말 십일조 헌금으로 1억 원 (수표)을 ‘헌금’ 했다. 그 남편 왈, “아내는 종교적 신념에 따라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헌금’을 했을 뿐이다”. 이에 대해 상대 후보들은 “시골 조그마한 교회에 느닷없이 1억 원을 내놓는 것이 어떻게 순수한 ‘헌금’이냐”고 크게 반발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 ‘헌금’에 대해 선관위는 선거법의 잣대를 들이댄다. “신도가 아닌 경우, 기부 행위 (선거법 위반)”이며, “신도라고 해도 통상적인 범위를 넘어서는 고액의 금품을 제공하면 단속 대상” 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위의 두 경우, 그 ‘헌금’이 만일 기부 행위로 확인되면 그 본인들은 물론, 찬조금 등 명목으로 ‘헌금’을 받은 교회에 대해서도 이의 50배에 달하는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 이라고 한다.

    교회를 열심히 나가고, 성의껏 헌금을 하는 우리 교인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 것인가? 많은 생각을 자아낸다.

    우선, ‘하늘-나라 법’으로 하면 그들의 이 같은 ‘믿음=헌금’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선거를 앞두고 신앙이 더욱 두터져 더 많은 ‘헌금’을 했습니다.”라고 하나님께 기도한다면, 옆 사람들로서는 더 할 말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세상 법’ (선거법)은 “왜 하필이면 이 때에?” 그 동기와 목적을 캐묻는다. 어떻게 보면 신앙의 자유와 실정법의 상충인데, 그 귀추가 자못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두째, 교회는 어떠한 돈이라도 그 출처를 묻지 않고 헌금을 받아 들인다.  이 역시 ‘하늘-나라 법’으로 넓게 보면, 모든 것이 본래 하나님의 것, 다시 하나님께 되돌리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세상 법’은 그 돈의 성격을 묻는다. 그 돈이 과연 깨끗한 돈이냐, 세금을 다 낸 돈이냐를 따진다. 필자로서는 헌금도 ‘이-세상 법’을 모두 통과한 떳떳한 돈, 세금 다 낸 돈, 클린 머니 이라야 진정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헌금이 되리라는 생각인데, 위의 경우 그 ‘헌금’을 받은 교회들이 “성전 안에서의 신앙 행위”라는 이유를 들어 선관위 조사에 극히 비협조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한다.
      
    세째, 이 사건을 보면서 새삼, 우리가 많건 적건 헌금할 때에 우리들 마음의 자세를 다시 한 번 되돌아 보게 된다. 참말로 “오른 손이 하는 것을 왼 손이 모르게…”하는 순수한 동기에서일까. 혹시 “하나님께 바치면 더 큰 것으로 채워 주신다” 는 보상 심리가 밑바탕에 잠재해 있는 것은 아닐까. 만의 하나 그렇다면, 선거에 당선되기 위해 ‘헌금’ 이라는 편법을 빌어 돈을 뿌리는 그들과 우리가 다른 점이 무엇일 것인가. 둘 다 똑 같이 어떤 반대 급부를 기대하는 이기적인 행위이니 말이다.

    마지막으로, 헌금과 관련 십일조 (十一租) 얘기를 덧붙이지 않을 수 없다. 많은 교회가 “네 보물이 있는 곳에 네 믿음이 있다” “믿음의 깊이는 헌금의 다과에 비례한다” 면서 십일조를 강조한다. 그리해서, “모든 것이 하나님 것” 이라는 철저한 신앙에 이르지 못한 많은 평신도들이 항상 이를 두고 고민, 갈등이 있는 줄 안다. 그런데 십일조란 것이 무엇인가.

    옛 농경/목축 시대, 그리고 신정 (神政) 시대, 수확물의 10분의1을 세금/헌금으로 바친 것이 그 유래다. 그렇다면 오늘 날 같이 종교와 정치가 완전 분리된 시대의 사회 구조에서 십일조는 어떻게 계산되어져야 타당할 것인가. 총 소득 (gross income)에서? 총 조정 소득 (gross adjusted income)에서? 아니면 순 소득 (net income)에서?  물론 각자 그 신앙의 깊이에 달린 문제이지만, 어느 회계사 (장로)의 의견인 즉, ‘순 소득의 십일조’가 현대적인 타당성이 있고, 또한 합리적이라는 주장이다.

                                        <장동만:e-랜서 칼럼니스트> <04/18/06 記>

http://kr.blog.yahoo.com/dongman1936
저서: ‘조국이여 하늘이여” & ‘아, 멋진 새 한국”

    
    
    
   
  • ?
    박영찬 2006.04.28 10:10
    부자가 한울님께 가는 일이 어렵다는 말씀이 생각납니다..

  1. 다석님 묘소 참배

  2. No Image 25Apr
    by 관리자
    2014/04/25 by 관리자
    Views 4620 

    다석 선생님 묘소참배

  3. No Image 15Nov
    by 하루
    2013/11/15 by 하루
    Views 4710 

    감사드립니다.

  4. 교회 헌금과 사법 처리

  5. No Image 17Feb
    by 장동만
    2006/02/17 by 장동만
    Views 4803 

    노 정권 왜 인기 없나

  6. No Image 25Mar
    by 민항식
    2006/03/25 by 민항식
    Views 4873 

    살아 숨쉬는 한웋님

  7. No Image 18Feb
    by 민항식
    2006/02/18 by 민항식
    Views 4876 

    지금 여기(2)

  8. No Image 16Apr
    by 장동만
    2007/04/16 by 장동만
    Views 4887 

    보수/진보 넘어 사회정의로

  9. No Image 09May
    by 좋은책나눔
    2005/05/09 by 좋은책나눔
    Views 4897 

    깨알 같은 깨달음이라니...?

  10. No Image 15Jan
    by 장동만
    2007/01/15 by 장동만
    Views 4905 

    이 참에 모병제로 가자

  11. No Image 24Nov
    by 김병규
    2005/11/24 by 김병규
    Views 4923 

    유영모 선생과 함석헌 선생의 생명사상 재조명

  12. No Image 09Feb
    by 민항식
    2006/02/09 by 민항식
    Views 4930 

    존재의 빛으로서의 나

  13. 아바의 노래

  14. No Image 11Apr
    by 장동만
    2005/04/11 by 장동만
    Views 4953 

    간디의 '노력없는 부(富)'

  15. No Image 04Jan
    by 민항식
    2006/01/04 by 민항식
    Views 4976 

    비로봉 올라가는 길

  16. No Image 06Jan
    by 민항식
    2006/01/06 by 민항식
    Views 5012 

    꽃비

  17. No Image 13Jan
    by 민항식
    2006/01/13 by 민항식
    Views 5020 

    산속의 명상

  18. No Image 07Jan
    by 좋은책나눔
    2006/01/07 by 좋은책나눔
    Views 5022 

    웃고 있을뿐....

  19. No Image 15Mar
    by 운영자
    2006/03/15 by 운영자
    Views 5024 

    게시판 자료 검색시.....

  20. No Image 05Jul
    by 장동만
    2005/07/05 by 장동만
    Views 5025 

    아파트 값 잡는 한 방법-미국의 렌트 안정법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9 Next
/ 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