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빈탕한데 맞혀노리

조회 수 10013 추천 수 0 2012.01.03 15:28:43
저자 : 이정배 
역자 :  
출판사 : 동연 
내용 : 책소개 위로
‘없이 있는’ 다석 유영모 선생님의 사상으로 현대 신학담론을 풀어내다!


다석 유영모 선생의 사상으로 현대 신학 담론들과의 만남을 시도하는 『빈탕한데 맞혀놀이』. ‘빈탕한데’란 다석 유영모 선생님이 ‘허공’을 순우리말로 표현한 것으로 ‘빈탕한데 맞혀놀이’는 하나님 아버지의 품에서 살아가는 것을 뜻하고 있다. 저자가 스스로의 신학적 실존, 삶의 여정 속에서 만난 다석의 의미를 비롯하여 유교와 불교가 만날 수 있는 가능성으로서의 다석을 제시하는 책이다. 역사적 예수와 그리스도, 민족과 탈민족주의 간의 대립을 동양적으로 극복하는 과정을 비롯하여 다석의 사상으로 유교ㆍ불교와 만날 수 있는 신학적 가능성, 오늘날의 생명담론과 다석 사상의 상관성 등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다석의 기독교 사상을 민족문화와 소통할 수 있는 틀로 바라보며, 한국적 생명신학의 정수를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이 속한 분야종교 > 기독교(개신교) > 신학/기독교사상 > 신학일반
저자소개 위로
저자 : 이정배 작가 자세히 보기 관심작가 등록 저자 이정배 1955년 7월 15일 서울에서 출생했고 어린 시절 잠시 시골에서 자란 경험이 있다. 대광(大光) 중고등학교에서 기독교 정신을 배웠으며 영락교회와 평동교회에서 행복한 중고등부 시절을 보냈다. 이후 감리교 신학대학교에 입학했고 토착화 신학 전통을 배웠으며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일아(一雅) 변선환 선생을 사사했다. 스위스 바젤 대학교에 5년 남짓 유학했고 그곳에서 유교와 기독교 간의 만남을 주제로 긴 논문을 썼다. 1986년 모교 교수로 부름 받아 후학들과 20년 이상을 함께 지냈다. 그간 한국 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동시에 소금(素琴) 유동식 선생님을 모시고 한국문화신학회를 창립하여 10여 년 이상을 이끌어왔다. 1990년 서울에서 열렸던 JPIC 대회의 자극으로 생태신학에 눈을 떴고 토착화 신학과 생태(환경)신학을 한국적 생명신학이란 이름하에 연결 짓고자 애써왔다. 이 선상에서 종교와 과학 간 대화의 중요성을 숙지했고 이 주제에 관한 책을 번역하고 쓰기도 했다. 현재(鉉齋) 김흥호 선생님을 통해서 多夕 유영모 사상을 접한 것을 큰 축복으로 알고 있다. 그 덕으로 多夕학회의 일원으로서 多夕을 연구해왔다. 향후 서구 신학은 물론 일본 교토 학파를 능가하는 多夕학파의 신학 형성에 일조할 생각이다. 마지막 관심은 신학사, 과학사 그리고 예술사를 아울러 서구 기독교를 재구성하는 일이다. 기독교의 근본을 추구했던 故 이신(李信) 박사님의 ‘영의 신학’ 덕분으로 이런 꿈을 갖게 되었다. 현재 한국문화신학회 회장과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또한 강원도 횡성에서 독서와 기도 그리고 노동이 아우러지는 ‘현장(顯藏)아카데미’를 꾸미는 일도 삶의 몫으로 알고 준비 중이다. 우리 시대 대안교회인 겨자씨 공동체와의 만남을 소중한 인연으로 알고 열심히 설교하고 있다. 저서로는 『생태영성과 기독교의 재주체화』(동연, 2010), 『없이 계신 하느님, 덜 없는 인간 - 多夕신학의 얼과 틀 그리고 쓰임』(모시는사람들, 2009), 『켄 윌버와 신학』(시와진실, 2008), 『생명의 하느님과 한국적 생명신학』(새길, 2004), 『한국개신교 전위 토착신학 연구』(기독교서회, 2003)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존 폴킹혼의 『진리를 찾아서』(KMC, 2003), 유아사 야스오의 『몸과 우주 - 동양과 서양』(지식산업사, 2004) 등이 있다.

머리말

서론_ 미정고(未定稿)로서의 예수 - 多夕 유영모를 만나기까지
1. 신학적 영향사(影響史)의 개관
2. 오늘의 시각에서 본 가족사와 학창시절
3. 一雅 변선환 선생
4. 프릿츠 부리와의 만남
5. 스승 없이 스승되어 살기
6. 초현실주의 신학자 이신(李信)의 재발견
7. 토착화 신학의 절정으로서 多夕학파의 기독교 이해
8. 신학함의 동반자가 있어 행복했던 25년

제1부 한국 신학의 두 과제, 토착화와 세계화를 아우른 多夕의 기독론

1장. 多夕신학에서 본 ‘역사적 예수’의 기독론
들어가는 글
1. 역사적 예수 연구가들의 기독론 비판의 근거 - 부활 이전/이후 예수상(像)의 구별
2. 초자연적 유신론 및 인습화된 ‘케리그마’ - 바울 신학과의 연계를 중심하여
3. 역사적(부활 이전) 예수의 신성(神性)과 영(靈)기독론 - ‘참사람’으로서의 그리스도 이해
4. 역사적 예수의 한국적 재(再)케리그마화 - 영(靈)기독론에서 多夕의 ‘얼’기독론으로

2장. 多夕신학 속의 자속(自贖)과 대속(代贖), 그 상생(相生)적 의미
들어가는 글
1. 기독교 케리그마(Kerygma)는 불변의 상수(常數)인가?
2. 역사적 예수 삶의 탈(脫)현대적 조명
3. 多夕의 예수 이해, 상생적 구속론의 사상적 토대로서 <天符經>과 三才사상
4. 역사적 예수 삶의 재(再)케리그마화로서 多夕의 스승기독론 - 대속(代贖)과 자속(自贖)의 상생(相生)적 차원
나가는 글

3장. 민족과 탈(脫)민족 논쟁의 시각에서 본 多夕신학 - A.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의 비판적 독해
들어가는 글
1. 토착화 신학의 토대로서 ‘한국적 주(정)체성’, 그 실체는 있는가?
2. A. 네그리의 민족주의 비판의 새 차원 - ‘제국’의 도래와 세계적 가난의 실상
3. 다중(多衆)의 삶정치(Biopolitics)와 ‘유러피언 드림, 그 공감의 정치학’
4. 한국적 ‘통섭론’에서 본 새문명론과 多夕의 ‘다중(多衆)’기독론 - 3세대 토착화론에 대한 소견
나가는 글

제2부 두 번째 차축시대와 회통적 기독교 - 종교다원주의의 한국적 이해

1장. 귀일(歸一)사상에 근거한 多夕의 유교 이해
들어가는 글
1. 多夕의 시각에서 본 유교와 기독교 만남의 역사 및 평가
2. 역사적 유교의 한계와 歸一사상에 근거한 유교 본래성 이해
3. 유교경전에 대한 多夕의 신학적 해석학
4. 성서 풀이 속에 나타난 후천(後天)시대의 多夕의 기독교상(像) - 귀일(歸一)사상에 근거하여
나가는 글

2장. 多夕신학 속의 불교
들어가는 글
1. 삼재론(三才論)의 틀에서 이해된 多夕의 신학적 회통 원리
2. 불교와 기독교 간의 소통 원리로서의 여래장(如來藏)사상 - 삼재론(三才論)에 대한 불교적 이해
3. ‘自他不二’적 구원(해탈)론으로서 십자가 사건 - 돈오돈수(頓悟頓修)적 점수(漸修)론과의 대화
4. ‘얼나’와 불교적 ‘無我’(成佛) - ‘덜 없는 인간’을 넘어서

3장. 기독교의 동양적, 생명적 이해 - ‘빈탕한데 맞혀 놀이’와 진물성(盡物性)을 중심으로
들어가는 글
1. 없이 계신 하느님과 귀일(歸一)사상
2. 십자가와 참(얼)나
3. 바탈[本然之性]로서의 성령
4. 빈탕과 하나되는 삶 - 자속과 대속의 불이(不二)적 관계
나가는 글

제3부 多夕으로 오늘의 세상 읽기 - 多夕신학과 현대 사조와의 만남

1장. 생명담론의 한국적 실상 - 생명담론으로서 多夕신학의 자리매김을 위하여
들어가는 글
1. 생명의 형이상학적 이해, 그 새로운 시도들
2. 신과학의 전일적 생명론과 그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
3. 진화생물학의 생명담론 실상과 전개 및 비판 - ‘通涉’ 개념을 중심으로
4. 한국에서 전개된 자생적 생명철학 - 동학, 多夕 그리고 에코페미니즘의 한국적 수용
나가는 글 - 현대적 생명담론과 多夕사상의 치열한 만남을 꿈꾸며

2장. 한국적 통섭론(通涉論)으로서의 多夕신학 - E. 윌슨의 ‘생명의 편지’에 대한 한 답신
들어가는 글
1. 에드워드 윌슨의 『생명의 편지』 풀어 읽기 - 생명을 위한 연대의 제안
2. 『생명의 편지』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 - 토마스 베리의 우주 진화적 신학과 샐리 맥페이그의 성육신적 생태신학을 중심하여
3. 기후 붕괴 및 종의 멸종 시대와 多夕의 생명사상 - ‘統攝’을 넘어 ‘通涉’으로
4. 한국적 통섭론(通涉論)의 시각에서 본 『에코지능』과 『생체모방』 - 多夕 생명사상의 구체적 실상
나가는 글

3장. 種의 기원과 種의 멸종 사이에서 본 多夕의 ‘없이 계신 하느님’
들어가는 글
1. 다윈 진화론의 핵심 내용과 기독교와의 갈등 배경
2. 진화론에 대한 현대적 논의들 - 유물론적 진화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3. 진화론적 유신론에 대한 신학적 논의들 - 설계, 성사(聖事)를 넘어 ‘약속’으로?
4. 창조와 성육의 통합으로서의 우주적 그리스도와 多夕의 ‘없이 계신 하느님’ - 약속을 넘어 ‘책임’으로!
나가는 글 
출판일 : 2011-11-02 
홈페이지 :  
전화번호 : -- 
핸드폰 : -- 
이메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다석사상 참고자료.. 관리자 2012-11-02 18491
26 [신간]영성강좌 file 관리자 2013-03-29 9504
25 다석강의 file 관리자 2012-12-24 28011
24 다석유영모어록 file 관리자 2012-12-23 38829
23 나는 예수를 이렇게 본다 file 관리자 2012-12-23 26365
22 다석전기-류영모와 그의 시대 file 관리자 2012-11-19 37904
21 도의 신학 Ⅱ file 관리자 2012-08-16 48805
20 죽음 공부-다석 사상으로 읽는 삶과 죽음의 철학 file 관리자 2012-05-07 36453
19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영적 스승들) file 관리자 2012-05-07 30113
» [신간]빈탕한데 맞혀노리 file 관리자 2012-01-03 10013
17 종교 - 심층을 보다 file 관리자 2011-06-26 12048
16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오강남 성해영 대담집 file 관리자 2011-05-21 12577
15 하루를 일생처럼-다석귀천 30주기 기념 추모문집 file 관리자 2011-03-16 14722
14 축의 시대 file 관리자 2010-12-25 12715
13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류영모저 박영호 풀이 file 관리자 2010-11-09 53403
12 [신간]마지막강의 file 관리자 2010-03-16 60888
11 [신간] 신화를 벗은 예수 file 관리자 2009-11-24 13904
10 [신간]나는 다석을 이렇게 본다 file 관리자 2009-11-12 72050
9 정양모 신부 책소개 관리자 2009-06-07 46067
8 [신간]없이 계신 하느님,덜 없는 인간 file 관리자 2009-03-14 25347
XE Login